Blog > 앱트렌트/뉴스

앱 개발시 꼭 고려해야할 5가지

1) 과도한 키워드 스팸은 NO 2) 저작권 침해, 사전에 철저히 알아보고 따져보고 3) 무리한 광고 욕심 버려야 4) 개인 및 기밀 정보 무단 게시 안 돼 5) 보기 민망한 성인 콘텐츠 안 돼

1) 과도한 키워드 스팸은 NO 

구글 플레이 정책 상 `키워드 스팸`은 금지된다. 사기성이 있거나 반복적으로 키워드를 넣는 것도 안 된다. 해당 앱과 관련 없는 키워드를 무리하게 집어넣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위반할 경우 구글은 앱 서비스 일시중지 및 개발자 계정을 해지하는 조치를 취한다.  

예를 들어 “겨울왕국, 뽀로로보다 재미있는 게임”, “앵그리버드보다 참신한 게임” 등 인기 키워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안 된다. 

또 구글은 ‘메시지 스팸’에도 단호한 입장이다. 사용자가 알지 못하거나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은 SMS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 등의 경우 해당 앱을 적극 삭제 조치한다.  

 

2) 저작권 침해, 사전에 철저히 알아보고 따져보고 

여느 마켓과 마찬가지로 저작권 침해는 엄격히 규제를 당한다. 저작물을 부적절하게 또는 무단으로 사용하는 저작권 침해의 경우 구글은 해당 앱을 일시중지하고 개발자 계정을 해지하는 조치를 취한다.  

이에 개발자와 개발사들은 해당 콘텐츠가 다른 저작물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따져봐야 한다. 법률 자문을 받거나 저작권 소유자에게 저작물 사용 권한을 얻는 방식을 취해야 하는 것. 

특히 비공식적 앱이라고 해도 저작권을 반드시 지켜야 하며, 유명 아티스트의 스크린샷이나 이미지를 무단으로 사용해서도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예제 앱에 기존 제품의 명의를 도용하는 것 역시 해당 앱이 차단될 수 있는 위반 사항이다. 또한 예제 개발자 이름이 실제와 다르거나, 타사 및 제품의 후원 관계를 암시해서도 안 된다. 

 

3) 무리한 광고 욕심 버려야 

구글 플레이에 등록하는 앱들은 구글의 광고 정책을 따라야 한다. 앱에 표시되는 광고 역시 콘텐츠에 속하기 때문에 모든 위반에 대한 책임은 앱에 있다는 것이 구글 측의 입장이다.  

이에 앱에 표시되는 광고에는 불법 활동, 폭력, 노골적인 성적 콘텐츠 등이 담겨선 안 된다. 또 광고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앱 수위 등급과 일치해야 한다. 즉 ‘전체 이용가’ 게임에서 ‘15세 이상’의 광고가 노출돼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또 광고를 목적으로 해당 앱에서 다른 앱이 자동 연결되게 하거나, 특정 사이트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 역시 구글이 제재하는 요건이다. 

  

4) 개인 및 기밀 정보 무단 게시 안 돼

구글은 신용카드번호,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 비공개 연락처 등의 무단 게시 또는 공개를 허용하지 않는다.  

또 앱에서 개인 및 기밀 정보를 타사 서버에 업로드 하는 경우, 기기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가 이 사실을 알고 또 동의해야 한다.  

이 정보는 휴대전화의 앱 환경 향상에만 사용돼야 하고, 앱 또는 서비스의 다른 사용자가 공개할 수 없게 돼 있다. 아울러 개발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법적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5) 보기 민망한 성인 콘텐츠 안 돼 
이 밖에도 구글 플레이에서는 포르노, 노골적인 성적 콘텐츠, 과도한 노출이 허용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콘텐츠의 목적이 성적 유희인 경우 차단된다. 특히 근친상간이나 수간을 장려하는 콘텐츠의 경우 금지된다. 

 

원문보기 :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715101111  

 

한국스마트앱연구소 모토 (Motto of KSAPP)

1. 천지개벽 [天地開闢] : 이제 스마트폰 앱으로 인해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2. 상전벽해 [桑田碧海] : 스마트폰 앱으로 인해 뽕마무 밭이 바다로 바뀌듯 이제 모든 페러다임이 바꾼다.
3. 송구영신 [送舊迎新] : 스마트폰(앱)으로 인해 기존 산업을 몰락하고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이다.